■ 방송 : YTN 라디오 FM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4-16 13:21

본문

■ 방송 : YTN 라디오 FM 94.5 (09:00~10:00) ■ 진행 : 조태현 기자 ■ 방송일 : 2025년 4월 16일 (수요일) ■ 대담 :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 조태현 기자 (이하 조태현) : 핫한 지역의 핫한 이슈, 부동산 이야기입니다. <핫플 거기 어때?> 시간이고요. 오늘은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과 함께 하겠습니다. 연구원님 어서 오십시오. ◇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 (이하 윤지해) : 반갑습니다. ◆ 조태현 : 대통령 선거일이 6월 3일로 확정이 됐어요. 이렇게 확정이 된 상황에서 사람들이 움직이기는 어려울 것 같은데 분위기 어땠습니까? ◇ 윤지해 : 아무래도 계엄에서 탄핵 국면까지 오는 한 3개월여 동안은 의사 결정들을 미루고 있었다고 평가가 됩니다만 사실은 대선을 앞두고까지 정치적인 불확실성이 엄청 크다, 탄핵 국면 때만큼 크다 이렇게 보기는 어려우니까 최근 들어서는 분양도 이루어지고 변동률 상에서는 상승 폭이 둔화하고 있긴 합니다. 부동산원 기준으로 보시면 전국은 지난주 기준으로 0.02% 하락했고요. 서울은 0.08% 올랐고 수도권은 0.01% 보합 수준에서 움직였는데 저희 부동산R114 통계에서는 전국은 0.16% 서울은 0.50%입니다. 물론 저희가 시세 표본 자체를 AI 기준으로 다 바꾸다 보니까 주간 단위의 변동폭이 커지긴 합니다만 상승 폭은 더 크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 조태현 : 그러면 여전히 관망세는 있는 가운데 조금씩 거래는 예전보다는 늘어나기 시작했다 이렇게 봐도 되는 건가요? ◇ 윤지해 : 아까 설명드린 것처럼 우리가 계엄이다, 탄핵 재판이다 하는 과정들에서 도대체 결과가 어떻게 나올 거냐는 불확실성이 있다면 의사결정을 뒤로 미루겠죠. 다만 공약이라는 부분들이 본격적으로 나오기 시작하는데 최근 들어서 세종시 관련된 이슈들도 나오잖아요. 그런 것처럼 공약은 보통 여러 가지 개발 계획들 혹은 제도상의 변화들을 유발을 합니다. 이런 것들은 어떻게 보면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들을 형성을 하는 거니까 거기에 따라서 시장 자체는 우호적으로 움직이는 이슈라고 볼 수 오충현 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가 15일 산불 피해 복구와 관련해 인터뷰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강풍·가뭄·고온 탓에 확산 나무 자라는 환경 거스르며 수종 골라서 심기는 어려워 균형 잡힌 시각으로 복원을 영남 일대를 휩쓴 산불은 여러 문제점을 드러내며 과제를 남겼다. 특히 인공적으로 조성된 소나무숲이 불쏘시개 역할을 해 불이 커졌다는 일부 환경 전문가들의 지적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환경생태학자 오충현 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는 획일적인 방안보다는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종의 현실론이다.오 교수는 15일 서울 합정동에서 기자와 만나 소나무가 이번 영남지역 산불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에 대해 “소나무가 잘 타는 건 명약관화하다. 소나무(침엽수)가 활엽수보다 불에 취약한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오 교수는 “다만 소나무는 상대적으로 척박한 곳에도 뿌리를 내리기 때문에 능선에서 많이 자라는데, 소나무가 있는 능선은 바람이 더 심하게 불기 때문에 나무가 더 잘 타고 불씨가 바람을 타고 멀리 날아가기 쉽다”고 설명했다.그렇다면 소나무를 안 심으면 되는 것이 아닐까. 그는 “설악산, 북한산 국립공원도 계곡부는 참나무, 능선부는 소나무가 주를 이루는데, 그 토양의 성질이 소나무만을 허용하기 때문”이라며 “나무가 자라는 환경, 땅의 특성을 거스르면서 인위적으로 수종을 골라 심기는 어렵다”고 말했다.그는 이번 산불이 사람의 실수에서 시작됐지만 피해가 커진 것은 ‘자연재해’에 가깝다고 했다. 오 교수는 “대부분 산불은 사람 때문에 생긴다. 이번 산불도 실화로 촉발됐으니 인재로 볼 수 있다”면서 “다만 대형 산불로 번진 이유 역시 사람 때문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번 산불은 겨울 가뭄과 이상 고온, 강풍이 맞물려 커졌다. 그는 “가뭄과 고온, 강풍은 인간이 조절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번 산불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에 가깝다”고 했다.환경 전문가들은 불에 강하고 키 작은 나무들을 베어내는 산림청의 ‘숲 가꾸기’ 사업이 오히려 ‘불 폭탄’을 만든 것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한다. 인간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