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S 박지환의 뉴스톡■ 방송 : C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4-03 21:44

본문

CBS 박지환의 뉴스톡■ 방송 : CBS 라디오 '박지환의 뉴스톡'■ 채널 : 표준FM 98.1 (17:30~18:00)■ 진행 : 박지환 앵커■ 패널 : 정석호 기자[앵커멘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대미 수출 비중이 큰 우리나라 경제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산업부 출입하는 정석호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앵커] 정석호 기자[기자] 네[앵커] 본격적인 질문에 들어가기 앞서 관세 수치를 두고 혼선이 있는 것 같아요. 우리나라 관세율이 26%라는 이야기도 있네요?[기자] 네 우선 백악관이 오늘 새벽 공식 발표한 우리나라 상호관세율은 25%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각 국가별 관세가 적힌 패널을 들었는데 거기에 25%라고 쓰여 있었거든요. 그런데 이후 백악관에서 공개한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라고 적시됐습니다. 이후 취재진 질의가 이어지자 백악관 측은 부속서가 맞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조만간 공식적으로 정리되겠지만 일단은 26% 수치가 맞아보입니다.[앵커] 그렇군요. 그런데 이 관세율 자체도 중요하지만 대미 수출 경쟁국과의 수치 차이도 중요하잖아요.[기자] 맞습니다.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율을 부과받는 것이 유리한데요. 이번 발표에서 우리나라는 FTA 체결국 중 가장 높은 비율이 부과됐습니다. 미국의 FTA 체결국 중에서는 호주와 싱가포르를 비롯한 11개국이 기본관세인 10%만 적용됐습니다. 마찬가지로 경쟁국인 일본과 유럽연합은 각각 24%과 20%인데, 모두 우리나라보다 낮은 수치입니다. 마약과 이민 문제로 25%의 관세를 매기기로 한 캐나다와 멕시코에는 별도의 관세 발표가 없었습니다. 한국이 타국과 비교해도 더 가혹한 상황에 직면한 것은 분명해보입니다. 미국에 수출하는 우리 기업들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앵커]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겠는데요연합뉴스[기자] 네 우리나라의 대미 무역 흑자는 지난해 기준 약 82조에 달합니다. 역대 최대 수치인데요. 그동안 한미 FTA에 따른 무관세 효과가 사라진 데다, 일본과 유럽 등 경쟁국에 비해 페널티를 안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수출로 먹고 사는 한국 경제 구조상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입니다. 벌써부터 증시가 요동치고 있는데요. 일본 닛케이는 급락했고 국내 코스피는 2500선이 붕괴되는 등 여파가 이어지고 있습니다.[앵커] 앞서 미국이 수입 철강과 자동차 등에 대해서는 25%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겠다CBS 박지환의 뉴스톡■ 방송 : CBS 라디오 '박지환의 뉴스톡'■ 채널 : 표준FM 98.1 (17:30~18:00)■ 진행 : 박지환 앵커■ 패널 : 정석호 기자[앵커멘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대미 수출 비중이 큰 우리나라 경제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산업부 출입하는 정석호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앵커] 정석호 기자[기자] 네[앵커] 본격적인 질문에 들어가기 앞서 관세 수치를 두고 혼선이 있는 것 같아요. 우리나라 관세율이 26%라는 이야기도 있네요?[기자] 네 우선 백악관이 오늘 새벽 공식 발표한 우리나라 상호관세율은 25%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각 국가별 관세가 적힌 패널을 들었는데 거기에 25%라고 쓰여 있었거든요. 그런데 이후 백악관에서 공개한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라고 적시됐습니다. 이후 취재진 질의가 이어지자 백악관 측은 부속서가 맞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조만간 공식적으로 정리되겠지만 일단은 26% 수치가 맞아보입니다.[앵커] 그렇군요. 그런데 이 관세율 자체도 중요하지만 대미 수출 경쟁국과의 수치 차이도 중요하잖아요.[기자] 맞습니다.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율을 부과받는 것이 유리한데요. 이번 발표에서 우리나라는 FTA 체결국 중 가장 높은 비율이 부과됐습니다. 미국의 FTA 체결국 중에서는 호주와 싱가포르를 비롯한 11개국이 기본관세인 10%만 적용됐습니다. 마찬가지로 경쟁국인 일본과 유럽연합은 각각 24%과 20%인데, 모두 우리나라보다 낮은 수치입니다. 마약과 이민 문제로 25%의 관세를 매기기로 한 캐나다와 멕시코에는 별도의 관세 발표가 없었습니다. 한국이 타국과 비교해도 더 가혹한 상황에 직면한 것은 분명해보입니다. 미국에 수출하는 우리 기업들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앵커]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겠는데요연합뉴스[기자] 네 우리나라의 대미 무역 흑자는 지난해 기준 약 82조에 달합니다. 역대 최대 수치인데요. 그동안 한미 FTA에 따른 무관세 효과가 사라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