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죽음이 머릿속을 맴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4-04 12:26

본문

두 죽음이 머릿속을 맴돈다. 배우 김새론과 정치인 장제원의 죽음이다. 김새론은 죽기 전까지 황색언론과 사이버레커들의 표적이었다. 음주운전 사고 후 ‘촉망받는 배우’에서 ‘문제아’로 추락했고, 법적 처벌과 손해배상 등 져야 할 책임을 다했음에도, 틈만 나면 온라인 세계로 끌려 나왔다. 그의 죽음은 일종의 ‘사회적 타살’이었다. 게다가 그게 끝도 아니었다. 그는 여전히 자극적인 온라인 콘텐츠의 제목이 되고, 스펙터클이 되고, ‘썰’이 된다.그리고 장제원이 죽었다. 성폭력 가해 사실을 부인해왔던 그는 피해자가 신체에서 채취한 남성 유전자형 분석 결과와 관련 동영상 등 핵심 증거를 수사기관에 제출하고 JTBC가 이를 보도한 직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부산 사상구를 호령하던 “왕자”는 그렇게 책임을 회피하고 ‘최종적인 형태의 가해’(정세랑 <시선으로부터,>)로 삶을 마무리했다.[플랫]‘권력형 성범죄’와 반복된 죽음…‘피해자의 책임이 아니다’장제원의 죽음은 박원순의 죽음을 떠오르게 한다. 정치 성향도, 평생의 행적도 달랐던 두 사람이지만, 그 끝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사실 세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고 해도 명예롭지 못하게 떠난 이의 이름을 굳이 공적 지면에 다시 소환할 이유는 없었을 것이다. 일부 민주당 지지자들이 “박원순 때 떠들던 여성단체들 지금 뭐 하고 있느냐”고 떠들어대지 않았다면. 2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 해운대백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장제원 전 국회의원 빈소 앞에 조화가 줄이어 서 있다. 연합뉴스 예컨대 민주당 전국청년위원회 자문위원인 김홍태는 개인 SNS 계정에 “김재련씨, 여성인권전문가라더니 왜 장제원 사건에는 한마디도 안 합니까?”라며 김 변호사가 박원순 사건 때 기자회견을 하던 장면을 이미지로 첨부했다. ‘리포액트’의 허재현은 “여성단체도 김재련도 조용하다”고 비난했다. 진보를 자처하는 일부 유튜버들과 시사평론가, 언론인들도 이런 공허한 외침을 반복한다.그들에겐 당황스럽겠지만, 지금 장제원 4일 오전 9시께 관저 앞으로 집결한 윤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왼쪽)와 탄핵 반대 집회(오른쪽)의 모습. 김한울기자 “내란수괴 대통령을 즉시 파면하라!”, “나라를 지키기 위해 계엄을 선포한 대통령을 지킵시다!” 4일 오전 9시10분께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일대. 이날 오전 11시 예고된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탄핵 찬반 시위대가 관저 인근으로 집결하면서 남산터널로 향하는 한남대로 초입부터 경찰기동대 차량 20여대가 양쪽 차선 끝에 촘촘하게 배치돼 있었다. 이날 시위로 서울시는 북한남삼거리∼한남오거리, 서울역∼삼각지역사거리 양방향에서 시내버스 무정차와 오전 9시부터 관저 인근 한강진역의 무정차통과 결정을 내린 가운데 같은 시각 경찰은 한남초 쪽 인도와 차도 일부를 막고 차량 및 사람들의 출입을 제한하고 있었다. 탄핵 찬반 집회의 사이 간격은 약 400m 남짓. 경찰은 혹시나 있을 충돌을 막기 위해 양측 집회를 전면 통제했으며 곳곳에 경찰 수십명을 배치했다. 가까운 버스정류장 역시 안전 울타리가 설치되는 등 삼엄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이탈리아 대사관 앞에서는 윤 대통령 탄핵 찬성 시위대 100여명이 ‘윤석열 즉각 파면’ 플랜카드를 들고 구호를 외치며 대통령 탄핵을 촉구했다. 시위에 참석한 A씨(34)는 “생각 없이 계엄을 발동한 뒤에도 뻔뻔한 내란수괴를 대통령으로 두고 있어 나라 꼴이 말이 아니다”라며 “오늘 헌재는 국민의 명령을 받들어 8대 0으로 탄핵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B씨(23)는 “헌법 위반 사실이 명백해 분명 탄핵될 것”이라며 “선고 이후에 대통령은 국민 앞에 무릎을 꿇고 사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저 바로 앞 중부남부기술교육원에는 자유통일당이 주최한 탄핵 반대 집회가 개최, 수천여명의 참석자들이 ‘사기탄핵 즉각 무효’, ‘이재명을 구속하라’ 등을 외치고 있었다. 탄핵 무효를 촉구하는 플래카드와 노래가 흘러나오는 가운데 참석자들은 ‘탄핵이 기각되면 대통령이 나와 인사를 할 것’, ‘헌재를 구속하라’ 구호에 고개를 끄덕이고 있었다. 대통령 탄핵 반대를 위해 헌재에서 사람들이 계속 오고 있다는 사회자의 말에 장내가 환호로 가득차기도 했다. C씨(69)는 “대통령의 비상계엄은 나라를 지키기 위한 구국의 결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