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라 작가. 김창길 기자 내란수괴가 드디어 파면되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4-04 20:26

본문

정보라 작가. 김창길 기자 내란수괴가 드디어 파면되었다. 기쁘다. 그리고 이번에는 판결문에 “그러나”가 지난번처럼 많지 않았다.경찰이 이미 철저하게 대비하고 있다고는 들었지만 이번에도 지난번 탄핵 이후처럼 사망자가 나와서는 안 된다. 폭력사태가 벌어져서도 안 된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당한 것은 기쁜 일이지만 그 어떤 극단적인 세력도 사상도 이 상황을 구실로 준동하도록 내버려두어서는 안 된다. 내란수괴 파면과 함께 폭력은 종식되어야 한다.우리에게는 이제부터 할 일이 많다.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4년 12월 3일에 내란을 일으켰다. 본격적인 겨울을 맞이하던 무렵이었다. 그리고 2025년 3월 22일 산불이 영남지역을 휩쓸었다. 전 대통령이 내란을 일으켰기 때문에 산불이 일어났다고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겨울의 초입에 전 대통령이 내란을 일으킨 사건으로 인해 산불에 대비할 여력이나 역량이 혹여 줄어들지 않았냐고 묻고 싶은 것이다. 우리는 동해안 지역의 대형 산불을 이미 22년, 23년에 연달아 겪었다. 겨울은 내란 일으킬 때가 아니라 산불에 대비하고 혹시 모를 사고가 대형 재난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기 위한 인력과 자원을 집중해야 할 시기였다.다시는 이런 대형 재난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2025년 영남 산불로 인해 30명이 안타까운 목숨을 잃었다. 천년 고찰이 재가 되었다. 그와 함께 한 해 동안 피땀흘려 농사지었던 사과, 콩, 마늘 등의 농작물도, 가족처럼 돌보았던 가축들도, 꿀을 생산하던 벌도, 산에서 나던 버섯도 모두 산불이 잡아먹었다. 자연재해는 식량재난으로 이어진다. 홍수와 산불 등 자연재해는 식량주권의 문제이기도 하다. 파면된 전 대통령의 정권은 식량안보에 대해, 사람들이 먹고 사는 문제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쏟았는가?2022년 10월 29일, 서울 한복판인 이태원에서 158명이 한꺼번에 목숨을 잃었다. 그리고 얼마 후에 생존자 중 한 분이 안타깝게 세상을 등졌다. 304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던 2014년 세월호 참사에서 채 10년도 지나지 않았던 시점이었다.2023년 7월 15일에는 충북 청주시 오송 궁평2지하차도가 침수되어 14명이 목숨을 잃었다. 2024년정보라 작가. 김창길 기자 내란수괴가 드디어 파면되었다. 기쁘다. 그리고 이번에는 판결문에 “그러나”가 지난번처럼 많지 않았다.경찰이 이미 철저하게 대비하고 있다고는 들었지만 이번에도 지난번 탄핵 이후처럼 사망자가 나와서는 안 된다. 폭력사태가 벌어져서도 안 된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당한 것은 기쁜 일이지만 그 어떤 극단적인 세력도 사상도 이 상황을 구실로 준동하도록 내버려두어서는 안 된다. 내란수괴 파면과 함께 폭력은 종식되어야 한다.우리에게는 이제부터 할 일이 많다.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4년 12월 3일에 내란을 일으켰다. 본격적인 겨울을 맞이하던 무렵이었다. 그리고 2025년 3월 22일 산불이 영남지역을 휩쓸었다. 전 대통령이 내란을 일으켰기 때문에 산불이 일어났다고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겨울의 초입에 전 대통령이 내란을 일으킨 사건으로 인해 산불에 대비할 여력이나 역량이 혹여 줄어들지 않았냐고 묻고 싶은 것이다. 우리는 동해안 지역의 대형 산불을 이미 22년, 23년에 연달아 겪었다. 겨울은 내란 일으킬 때가 아니라 산불에 대비하고 혹시 모를 사고가 대형 재난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기 위한 인력과 자원을 집중해야 할 시기였다.다시는 이런 대형 재난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2025년 영남 산불로 인해 30명이 안타까운 목숨을 잃었다. 천년 고찰이 재가 되었다. 그와 함께 한 해 동안 피땀흘려 농사지었던 사과, 콩, 마늘 등의 농작물도, 가족처럼 돌보았던 가축들도, 꿀을 생산하던 벌도, 산에서 나던 버섯도 모두 산불이 잡아먹었다. 자연재해는 식량재난으로 이어진다. 홍수와 산불 등 자연재해는 식량주권의 문제이기도 하다. 파면된 전 대통령의 정권은 식량안보에 대해, 사람들이 먹고 사는 문제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쏟았는가?2022년 10월 29일, 서울 한복판인 이태원에서 158명이 한꺼번에 목숨을 잃었다. 그리고 얼마 후에 생존자 중 한 분이 안타깝게 세상을 등졌다. 304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던 2014년 세월호 참사에서 채 10년도 지나지 않았던 시점이었다.2023년 7월 15일에는 충북 청주시 오송 궁평2지하차도가 침수되어 14명이 목숨을 잃었다. 2024년 6월 24일 경기도 화성에 있는 아리셀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23명이 사망했다. 그리고 2024년 12월 29일 제주항공 7C2216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