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소비자물가가 4개월 연속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5-02 13:47

본문

전국 소비자물가가 4개월 연속 2%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실제 가계가 체감하는 생활물가는 전혀 ‘안정’되지 않고 있습니다.외식·가공식품·개인서비스 요금이 줄줄이 올라, ‘2%대 물가’라는 숫자에 가려진 장바구니 부담이 더욱 무겁게 다가오고 있습니다.제주는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4%로 전국보다 낮았지만, 생활물가는 전국과 같은 2.1% 상승했습니다.무는 145.1%, 김밥은 10.2%, 치킨은 5.7% 상승해, 도민 체감 물가는 오히려 더 높다는 평가입니다.■ 가공식품 4.1%↑, 외식 3.2%↑.. 전국적으로 ‘먹거리 인플레이션’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25년 4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8(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습니다.겉으로는 4개월 연속 2%대 안정 흐름을 보였지만, 세부 항목을 보면 전혀 다른 풍경입니다. 공업제품 중 가공식품 가격은 4.1% 오르며 2023년 12월 이후 16개월 만의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고, 외식 물가도 3.2% 올라 13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이는 생활물가지수의 2.4% 상승을 견인했으며, 사실상 ‘먹고사는’ 물가에서 국민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제주 물가 상승률 ‘1.4%’.. 그러나 생활물가는 전국과 같아제주의 경우 4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1.4% 상승하며 전국 평균(2.1%)보다 낮았습니다.하지만 생활물가 상승률은 2.1%로, 전국 평균과 같았습니다.식품 물가는 3.1%나 올라 전국 평균(3.3%)과 유사했고, 특히 자주 구매하는 142개 품목 기준으로는 거의 전방위적 상승세가 감지됐습니다.■ 무 145.1%, 김밥 10.2%, 치킨 5.7%.. “장은 봤는데, 장바구니는 가볍다”품목별로 보면 가격 급등 품목이 뚜렷했습니다.제주만 해도 무가 전년 동월 대비 무려 145.1% 상승해 주요 채소 중 가장 높은 폭을 보였고, 외식 물가에서는 김밥(10.2%)과 치킨(5.7%)이 크게 올랐습니다.반면 풋고추(–32.0%), 호박(–30.5%) 등 일부 채소류는 하락세였으나 전반적인 ‘밥상 부담’ 완화에는 역부족입니다.■ 신선식품지수 –3.2% 하락했지만.. “내가 사는 건 비쌌다”는 체감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대비 3.2% 하락했지만, 이는 풋고추·토마토·딸기 등의 낙폭 영향이 컸습니다.제주 기준으로는 신선채 국군방첩사령부 2022.11.14 [국방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곽민서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2일 주최한 '차기 정부의 국방·외교과제' 토론회에서 군 방첩사령부를 축소·재편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이날 사전 공개된 토론회 발제문에 따르면 김현종 전 청와대 국방비서관은 "국군방첩사령부와 정보사령부의 역할과 기능을 재정립해 군의 정치화 소지를 없애고, 법률에 명시된 임무를 수행하는 조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특히 방첩사령부에 대해서는 "기능과 임무를 방첩과 보안 업무에 집중하도록 재정립하고 축소하며, 궁극적으로 재편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방첩사가 12·3 비상계엄 기획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지목된 들어 재편 필요성을 제기한 것으로 풀이된다.김 전 비서관은 또 "능동적으로 한미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 실질적 전환조건 충족의 진전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그는 "한미가 합의한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의 조건 충족 기준이 정성적인 요소로 구성돼 실질적인 전환이 요원한 상황"이라며 "이 때문에 우리 군이 전작권을 독단적으로 행사하지 못하는 상황을 군의 구성원이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그러면서 "능동적인 전·평시 작전 수행 역량을 구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번 토론회에서는 군 초급 간부 초봉 300만원을 보장하고 군 복무자에게 자동차·주택 구입 시 혜택을 지원해 복무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문민' 국방부 장관을 임명하고 국방 2차관을 설치하는 한편, 방위사업청을 장관급 방위사업처로 격상해 방위산업을 뒷받침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한편 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과 강유정 의원 등 민주당 문화예술특위 위원들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국가문화정책 대전환' 토론회에서는 차기 정부의 문화 예술 분야 정책 제언이 잇따라 나왔다.이동연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는 사전 공개된 기조 발제에서 예술인의 기본권을 실현하기 위한 4대 보험 등 사회보장제를 확대하고 안정적인 창작환경 보장을 위한 예술인 기본소득, 기본주택, 기본창작공간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아울러 '블랙리스트 특별법'을 제정해 '예술인 블랙리스트' 처벌을 강화하고 예술인 피해를 구제해야 할 것을 주문하기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